시드부터 시리즈B까지, 단계별 재무 계획표 작성 방법 총정리
투자유치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스타트업은 무엇이 다를까요? 아이디어만으로 투자를 받을 수 있는 시대는 지났죠. 투자자들은 스타트업이 얼마나 준비되어 있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지 숫자로 보고 싶어합니다. 투자자들은 이를 보고 투자를 신중히 고려하는데요. 이번 콘텐츠에서는 시드부터 시리즈B 이상까지 투자 단계별로 재무 계획표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쉽게 풀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시드 단계: 아이디어를 증명하라
시드 단계는 말 그대로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기기 위한 첫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투자자들에게 “이 비즈니스가 돈을 벌 수 있다!”라는 기본 논리를 보여줘야 하죠.
(1) 수익 구조를 수학적으로 증명하기
먼저, 우리 비즈니스가 돈을 어떻게 벌지 설명해야 합니다. 지난 콘텐츠를 보고 오시면 조금 더 쉽게 이해가 가능합니다.
비즈니스가 돈을 벌 수 있는 구조인지 보여주기 위해서는 매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거래량과 단가를 계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커머스 플랫폼이라면
- 월 매출 1억원을 만들려면 얼마나 많은 거래가 필요할까요?
- 수수료율 5%: 거래대금 20억원 필요
- 수수료율 10%: 거래대금 10억원 필요
이런 식으로 매출, 수수료율, 거래대금 간의 관계를 재무 계획표로 보여줘야 투자자들이 현실적이고 믿을 만한 목표라고 느낄 수 있습니다.
(2) 시장 규모를 추정하기
우리 서비스가 속한 시장이 얼마나 큰지도 중요합니다. 초기에는 규모를 측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요. 이럴 때 보통 바텀업 방식으로 고객 수부터 접근해 보면 조금 더 쉽게 풀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지역에 10만 명의 잠재 고객이 있고, 이들이 월평균 10만원을 지출한다면 시장 규모는 1,000억원이다”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는 것이죠.
(3)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한 자금 계획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자원이 필요한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합니다.
- 인력: 개발자, 디자이너 등 몇 명이 필요한지
- 인건비: 각 포지션의 월급은 얼마인지
- 운영비: 사무실 임대료, 서버비, 장비비 등
그리고 이런 비용이 현실적인지도 투자자들이 중요하게 봅니다. 너무 과도하거나 너무 적게 잡혀 있으면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2. 프리 시리즈 A: 성과를 증명하라
시드 단계에서 세운 계획을 바탕으로 어느 정도 성과가 나왔는지를 보여주는 단계입니다. 투자자들은 “이 회사가 잘 해내고 있다”라는 실행력을 확인하고 싶어 합니다. 시드 단계에서 목표했던 지표 또는 매출, 시장 확보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성과를 보여주는 게 핵심이죠.
(1) 과거 재무 자료 준비하기
이 단계에서는 이미 벌어들인 매출과 지출 데이터를 준비해야 해야합니다.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즈니스의 가능성과 효율성을 입증하는 것이죠.
- 월별 매출과 비용
- 현금 흐름
이 자료를 통해 비즈니스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증명할 수 있어요.
(2) 마케팅 성과와 고객 데이터 제시하기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쓴 비용과 그 결과를 보여줘야 합니다.
- CAC(Customer Acquisition Cost): 고객 1명을 얻는 데 얼마나 썼는지
- CPC(Cost Per Click): 광고 클릭 1회당 비용
- LTV(Lifetime Value): 고객 한 명이 평생 동안 만들어내는 매출
즉, 이 수치들이 잘 맞물려야 투지유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특히, LTV가 CAC보다 커야 “이 비즈니스가 돈이 되는 구조구나!”라는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3. 시리즈 A: 성장 가능성을 입증하라
본격적으로 사업이 성장하는 시기로, 이제는 단순 가능성이 아닌 실제 성장 궤도에 올라타고 있음을 보여줄 차례입니다. 즉, 미래 매출에 대한 전망과 상세한 지표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1) 미래 매출 전망 제시하기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매출이 어떻게 성장할지 예측하세요. 예를 들어, “월 매출이 매년 50%씩 성장하고 있으니, 2025년에는 월 5억원, 순이익 1억원을 달성할 것이다” 같은 식으로요. 추가적으로 손익분기점 도달 시점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투자자들은 이 시점이 언제로 바라보고 있는지 중요하게 보고 있습니다.
(2) 비즈니스 지표 관리하기
서비스가 얼마나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보여줄 수 있는 핵심 지표가 필요합니다.
- 이탈률(Churn Rate): 고객이 떠나는 비율
- 업셀(Upsell): 기존 고객이 추가 구매하는 비율
- 순매출 이탈률(NRR): 기존 고객 매출이 얼마나 유지되고 있는지
이런 지표들은 사업이 단순히 성장하는 걸 넘어서 지속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걸 증명해 줍니다. 결국 비즈니스의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투자자들에게 설득력 있게 보여줄 수 있어야 합니다.
4. 시리즈 B 이상: 확장 전략을 제시하라
이 때는 투자유치를 넘어, 어떻게 시장을 확장하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것인지 준비해야 합니다.
(1) 인수합병 전략
이 단계에서는 비즈니스가 더 큰 성과를 내기 위해 인수합병(M&A)을 고려 중인지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 서비스의 확정성과 매출 확보, 시장점유율 증가 등 다양한 이유로 인수합병을 하나의 전략으로 내세울 수 있는데요. 인수합병 전략이 있는 상태라면 아래의 내용이 매우 중요합니다.
- 인수하려는 기업 리스트와 이들의 매출, 이익 데이터 분석
- “이 회사를 인수하면 이런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근거 제시
투자자는 이 시점에서 기업의 장기적 비전과 확장 가능성을 가장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재무 계획표는 투자 단계별로 달라야 한다
이처럼 투자 단계마다 비즈니스 전략에 따라 재무 계획표에 담겨야 할 내용이 다릅니다. 위 내용을 조금 간단히 요약하면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 시드 단계: 비즈니스의 가능성을 증명하기
- 프리 시리즈 A: 성과와 효율성을 보여주기
- 시리즈 A: 성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를 설계하기
- 시리즈 B 이상: 확장 전략과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하기
투자자의 입장에서 스타트업에 투자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비즈니스 모델의 실현 가능성’과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입니다. 이 두 가지를 명확히 보여줄 수 있는 재무 계획표가 없다면, 아무리 훌륭한 아이디어라도 투자 받기는 어렵습니다.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전략을 제시하는 재무 계획표가 중요한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죠. 각 투자 단계에 맞는 재무 계획표를 작성하여 사업의 성장 가능성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투자유치를 받을 수 있도록 준비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