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투자자가 우리 회사와 맞을까
스타트업을 창업하고 투자유치 활동을 경험한 대표뿐만 아니라 스타트업에 몸담고 있는 종사자들은 SI, 혹은 FI라는 단어를 들어 보셨을 것 같습니다. 투자를 진행하는 주체 또는 목적에 따라 분류되는 용어인데요. SI, FI 외에도 투자자에 관한 용어는 GP, LP, 엔젤 등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오늘은 투자자와 관련된 용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FI - 재무적 투자자
FI는 재무적 투자자로 투자유치 활동 중 가장 많이 만나게 될 투자자 유형입니다. 보통 스타트업들 중 유니콘이 될 가능성이 높은 곳에 투자하고, 이를 통해 높은 수익률을 찾는 이들이죠. 그렇다 해서 투자자들이 단독으로 움직이는 건 아닙니다. 투자자들 역시 누군가에 의해 고용된 이들이죠.
위 이미지는 SI 투자자의 펀드 구조를 설명하는 이미지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LP들에게 자금을 모아 펀드를 구성하고, GP들은 펀드를 운영하여 스타트업에게 투자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펀드는 특정 기간 이후 청산을 해야만 하죠.
여기서 LP는 펀드 투자자를 의미하며 유한책임조합원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직접 투자에는 개입하지 않지만, 실제로 펀드에 자금을 투자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에서 활발하게 투자하는 LP의 예시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국부펀드 - 한국모태펀드, 국민연금
기업 - 삼성전자, GS 홈쇼핑
개인 - 엔젤투자자
우리가 투자활동을 하며 만나는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GP 혹은 그와 연관된 조직에 소속된 경우가 많습니다. LP들로부터 모은 펀드를 운영하는 역할을 하며, 이들이 수행하는 상세 업무는 대표적으로 스타트업 발굴, 스타트업 심사, 투자 집행, 투자 후 관리(포트폴리오 관리) 등이 대표적입니다
VC들은 크게 2가지 방식으로 보상을 받게 됩니다.
운영보수 - 펀드 결성 금액 중 소량을 활용해 운영자금으로 활용(통상적 2%)
성과보수 - 옆과 같이 원금을 제외한 투자수익을 나누는 제도(통상적 수익의 20%)
따라서 VC입장에서는 투자수익이 클수록 더 많은 보상을 받게되어 있습니다.
FI투자의 장단점
FI투자를 받게 되면 크게 2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먼저 자금적인 측면인데요. 같은 단계 투자에서 평균적으로 더 많은 자금과 더 높은 밸류를 책정해줄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네트워크입니다. 향후 후속 투자, 협업 가능한 포트폴리오 회사 등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제공해줄 수 있습니다.
반면 단점으로는 성장에 대한 강도 높은 요구가 동반됩니다. 보상에 있어 스타트업의 성장이 중요한 만큼, 성장에 대한 요구를 지속적으로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이사회와 투자자 보고 체계가 필요하게 되는데요. 투자를 받는 이상 이제 더이상 나만의 회사가 아닌 만큼, 중대한 결정을 할 때마다 이사회 의결은 물론, 회사 경영 현황에 대한 보고의 의무도 생깁니다.
엔젤투자자
VC만 FI에 해당되는 건 아니죠. 엔젤투자자들 역시 FI에 해당되는데요. 엔젤투자자는 VC와 매우 비슷하지만, 다음과 같은 핵심 차이점을 두고 있습니다.
개인 vs 조직 - 엔젤들은 개인으로 행동하는 반면, VC는 조직으로 활동합니다.
개인 자금 vs 운용 펀드 - 엔젤들은 개인 자금으로 투자하는 반면, VC는 조성된 펀드를 운용하여 투자합니다.
이로 인해 엔젤투자자의 장점으로는 간결한 투자 프로세스가 꼽힙니다. 혼자서 투자를 결정하는 만큼, 투자 결정 프로세스가 매우 빠르고 간결합니다. 그리고 엔젤투자자는 보통 본업이 있는 만큼, 해당 분야에 대해 전문성을 보유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전문성을 사업에 적용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반면 단점으로는 평균적으로 VC보다 투자 가능 규모가 매우 작습니다. 개인당 1~5천만원, 클럽으로는 1~3억원 정도가 보편적입니다.
SI - 전략적 투자자
SI는 아마 FI보다 조금 생소할 것 같습니다. 쉽게 말해, 스타트업 투자를 집행하는 기업 혹은 기업에 존속된 전문투자기관을 일컫는 표현입니다. 국내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SI로는 네이버, 카카오, 삼성전자 등의 기업과 시그나이트벤처스, 삼성벤처스 등의 존속투자기관이 있습니다.
SI 투자자의 가장 큰 특징은 목적입니다. FI들의 목적이 수익성이라면, SI들은 모회사와 시너지가 있는 사업에 투자를 하길 원하죠. 모회사와 시너지를 측정하는 데 크게 매출 극대화, 비즈니스 다각화, 신기술 도입, 비용절감 등 총 4가지가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SI투자의 장단점
SI투자자는 FI투자자와 정반대 성격을 띄는 만큼 장단점이 매우 다릅니다. 일단 수익을 추구하는 FI와는 달리, SI는 시너지에 집중하는 만큼 비교적 성장에 대한 압박이 덜한 경향이 있습니다. 모회사와 이해관계를 맞추는 데 더 집중을 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모회사와 관계가 생기는 만큼 함께 시너지에 대해 확인해볼 수 있는 프로젝트 진행을 통해 매출을 올릴 수 있는 기회도 많이 생기는 것이 사실입니다.
단점으로는 복잡한 투자 절차가 꼽힙니다. 스타트업 투자가 본업이 아닌 부서가 걸리면, 일반 VC와 보고체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투자까지 가는 단계가 복잡하고 실질적인 투자 계약까지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투자 후 관리 절차에 대한 단점을 들 수 있는데요. 일반 VC가 전략적 방향성만 개입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전략적 투자자는 조금 더 밀접하게 개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어떤 투자자가 우리 회사와 맞을까?
스타트업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외부 투자유치는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필수적이라고 해서 투자집행 대상에 대한 분석과 기준 없이 투자를 받아서는 안 됩니다. 투자를 받는 순간 회사의 주주가 되며, 이는 기업의 모들 활동의 의사결정권자가 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사업의 단계와 목적에 따라 투자자 역시 전략적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내가 가고자 하는 방향과 다른 투자자가 합류할 경우 사업에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으니 말이죠.
투자유치 활동을 하기 전에 투자자의 목적과 그들이 추구하는 것들을 미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투자자들 만났을 때 투자자 성격에 맞게 보다 전략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해야만 합니다. 모두 각자의 사업에 도움이 되는 투자자를 만나기를 바라겠습니다.